2021년 사망원인 통계 | |||
---|---|---|---|
이가현| 2022-11-01| 조회수 : 2998 | |||
숫자로 알아보는 자살 사망자 수 통계 2021년 사망원인통계 2021년 자살 사망자 1만 3,352명!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자살 사망자수 통계 1.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률 26.0명. 전년 대비 1.2% 증가 자살 사망자 현황 2020년 13,195명에서 2021년 13,352명으로 157명(1.2%) 증가
자살 사망자 수는 총 13,352명 전년 대비 157명(1.2%)증가 자살률은 10대(10.1%), 20대(8.5%), 70대(7.7%) 순으로 증가함
2021년 연령대별 자살률(단위: 명)
10대 7.1명 20대 23.5명 30대 27.3명 40대 28.2명 50대 30.1명 60대 28.4명 70대 41.8명 80대 61.3명
2. OECD 평균보다 높은 연령표준화 자살률 OECD 국가간 연령 표준화 자살률 비교시 OECD 평균 11.1명에 비해 한국은 23.6명('21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임
3. 전년('20년)대비 '21년 높아진 성별 자살률 자살률은 남자(35.9명)가 여자(16.2명)보다 2.2배 높았음 전년 대비 자살 사망자 수는 남자(100명, 1.2%)와 여자(57명, 1.4%) 모두 증가함
왜늘었을까? 코로나19 장기화, 우울감과 자살생각률 증가 야기
코로나19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22. 6. 보건복지수) '19년 대비 우울위험군 5배 증가 '19년 대비 자살생각률 3배 증가
자살을 사회 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가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려우나, 지난해 자살률 증가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및 자살생각률 증가, 청소년·청년층(10대, 20대) 자살률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함
자살예방 정책 추진 1. 코로나19에 따른 정신건강 악화와 자살률 증가 위험에 대비
사람을 더하세요 정부는 정신건강 악화와 자살률 증가 위험에 대비하여 민간과 함께 하는 생명존중 캠페인을 진행하고 자살시도자·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 강화로 자살 예방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2. 자살예방법 개정 및 시행('22년 8월)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자살예방법 개정 및 시행으로 경찰소방이 당사자 동의 이전에 자살예방센터로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살 고위험군 지원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함
자살률 감소를 위해 고위험군에 대한 적극적 개입 노력 자살예방은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더하는 것에서 시작되므로 주위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전문적인 치료 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 모두가 따뜻한 관심을 기울여 주세요.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상담전화 1388 조직 내 사후대응 헬프라인 상담전화 1899-4567
출처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https://kfsp.org/) |